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바람의 화원 (드라마)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바람의 화원》은 2008년 방영된 SBS 드라마로, 천재 화가 김홍도와 신윤복의 이야기를 다룬다. 1766년, 세자의 초상화를 그리던 화가 강수항이 살해당하고, 10년 후 김홍도는 도화서에서 신윤복을 만나 그의 재능을 발견한다. 두 사람은 왕의 명을 받아 평민들의 모습을 화폭에 담지만, 권력자들의 음모에 휘말려 위기를 겪는다. 드라마는 김홍도와 신윤복의 예술적 교감과 함께, 신윤복이 여인이라는 비밀을 밝히는 과정을 그린다. 역사적 사실과 다른 부분이 존재하지만, 예술적 허용을 통해 극적 재미를 높였으며, 2008년 SBS 연기대상에서 문근영이 대상을 수상하는 등 여러 시상식에서 수상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SBS의 역사 드라마 - 야인시대
    《야인시대》는 일제강점기부터 근현대사를 배경으로 김좌진의 아들 김두한이 거지에서 종로패 두목, 국회의원이 되는 일대기를 그린 SBS 드라마이며, 청년 김두한 액션 장면과 심영의 "내가 고자라니" 대사로 큰 인기를 얻었다.
  • SBS의 역사 드라마 - 임꺽정 (1996년 드라마)
    1996년 SBS 드라마 《임꺽정》은 백정 출신 임꺽정의 성장 과정을 다루며, 정흥채, 차광수, 김원희 등이 출연했고 선정성 및 초상권 침해 논란이 있었다.
  • 한성부를 배경으로 한 작품 - 미스터 션샤인
    《미스터 션샤인》은 신미양요부터 1900년대 초 격동의 조선을 배경으로 노비 출신 미국 해병대 장교 유진 초이와 의병 고애신의 사랑, 조국을 위한 투쟁을 그린 드라마로, 높은 시청률과 인기 속에 역사 왜곡 논란도 있었다.
  • 한성부를 배경으로 한 작품 - 대명 (드라마)
    대명은 효종 시대의 조선을 배경으로 민족의 긍지를 되살리고자 기획된 드라마로, 효종의 지도력과 국력 신장 정책, 그리고 조선 왕족, 문무백관, 청나라와 명나라 인물들의 갈등을 그리고 있다.
  • 남장 작품 - 성균관 스캔들
    《성균관 스캔들》은 조선시대 성균관을 배경으로 여성이 남장하여 입학해 벌어지는 이야기를 그린 드라마로, 역사적 배경 묘사와 여성의 사회적 지위 메시지로 인기를 얻었으나 역사적 사실과의 차이에 대한 논란도 있으며, 한류 드라마로서 성공을 거두었다.
  • 남장 작품 - 베르사이유의 장미
    《베르사이유의 장미》는 프랑스 혁명 전후 프랑스를 배경으로 마리 앙투아네트와 여성 오스카르 프랑수아 드 자르제를 중심으로 이야기가 전개되며, 오스카르가 프랑스 사회의 모순을 인식하고 혁명에 가담하는 과정을 그린 이케다 리요코의 쇼죠 만화 작품이다.
바람의 화원 (드라마) - [TV프로그램]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바람의 화원 포스터
홍보 포스터
다른 이름바람의 화가
바람의 정원
장르사극
로맨스
각본이은영
연출장태유
진혁
출연박신양
문근영
류승룡
배수빈
문채원
국가대한민국
언어한국어
에피소드 수20
책임 프로듀서이영준
촬영지대한민국
촬영배홍수
실행 시간수요일 & 목요일 21:55 (KST)
제작사드라마 하우스 (JTBC 스튜디오)
IS 플러스
방송 채널SBS TV
한국어 제목
한글바람의 화원
한자바람의
로마자 표기Baram-ui Hwa-won
매큔-라이샤워 표기Paramŭi Hwawon
방송 정보
방송 국가
제작 방송국
SBS
방송 시간수목 (21:55-23:10)
방송 기간2008년 9월 24일 - 2008년 12월 4일
방송 횟수20
시대 설정조선 시대정조
추가 정보
기획구본근 (SBS 드라마본부)
책임 프로듀서허웅 (SBS 드라마운영팀)
각본이은영
출연자박신양
문근영
문채원
류승룡
이인
제작사드라마하우스
자막청각 장애인을 위한 자막 방송
외부 링크<바람의 화원> 공식 홈페이지

2. 역사적 배경

2. 1. 조선의 화단

3. 줄거리

1766년, 화원(畵員)이자 도화서의 수석 화가인 강수항은 훗날 조선 정조 (1752-1800, 조선의 제22대 왕)가 되는 세자의 밀명을 받고 세자의 초상화를 그리다가 살해당한다.

도화서의 또 다른 화가인 서정은 강수항의 죽음을 조사하다가 시체로 발견된다. 게다가 서정의 아내는 살해당하고 그의 딸은 실종된다. 10년 후, 김홍도는 도화서의 수석 화가로서, 새로운 학생인 신윤복을 발견한다. 홍도는 윤복에게서 뛰어난 재능을 발견하고 그를 둘러싼 음모로부터 보호하려 한다. 정조 또한 윤복의 엄청난 재능을 발견한다.

김홍도와 신윤복은 왕의 눈이 되어 평민들의 진실된 모습을 묘사한다. 그러나 권력 있는 궁궐 관리들은 두 화가를 제거하려 음모를 꾸미고, 곧 그들은 도화서에서 쫓겨난다. 이후 왕은 두 사람에게 10년 전 강수항이 그린 자신의 아버지의 초상화를 찾도록 비밀리에 명령한다.

김홍도와 신윤복은 적들이 설치한 함정과 위험을 극복하고 초상화를 되찾는 데 성공한다. 그림을 되찾는 과정에서 신윤복의 아버지인 서정의 죽음 뒤에 숨겨진 비밀 또한 드러난다. 그 과정에서 김홍도는 신윤복을 진정으로 사랑하게 되었음을 깨닫는다. 그러나 그는 그들의 관계가 이루어질 수 없음을 알고 그를 떠나려 한다. 하지만 모두를 놀라게 하는 진실이 밝혀진다. 신윤복은 사실 여자였던 것이다. 그녀는 아버지의 죽음에 대한 진실을 밝히기 위해 남자만 들어갈 수 있는 기관인 도화서에 들어가기 위해 남장을 했던 것이다.

4. 등장인물


: 도성 최고의 기생. 가야금의 명인. 자신을 한 사람의 인격체로 진심으로 대하는 윤복에게 끌린다.

  • '''장벽수 - 김응수'''

: 오죽회의 일원. 10년 전, 도화서 별제의 자리를 얻기 위해 음모에 가담한다.
: 가문의 번영을 위해 그림 재주가 있는 윤복을 이용하려 양녀로 삼아 남자로 키운다.

  • '''신영복 - 이준'''

: 윤복에 대한 연모를 억누르면서 따뜻하게 지켜본다.
: 김홍도와 쌍벽을 이루는 그림 재주의 소유자. 유복한 양반 출신으로 한때 홍도의 절친한 친구였다. 의견 차이로 홍도와 갈라서게 된다.

4. 1. 주요 인물

박신양김홍도 역을,[11] 문근영신윤복 역을 맡았다.[9][10] 류승룡은 김조년 역을, 배수빈은 정조 역을, 문채원기생 정향 역을 맡았다. 어린 윤복 역은 김유정이 연기했다.

도성 최고의 기생이자 가야금의 명인인 정향은 자신을 진심으로 대하는 윤복에게 끌린다. 김응수는 10년 전 도화서 별제 자리를 얻기 위해 음모에 가담하는 장벽수 역을 맡았다. 안석환은 가문의 번영을 위해 윤복을 이용하려 양녀로 삼아 남자로 키우는 신한평 역을, 이준은 윤복에 대한 연모를 억누르면서 따뜻하게 지켜보는 신영복 역을 맡았다.

정인기홍국영 역을, 임지은은 정순왕후 역을, 최종원은 정순왕후의 오빠 김귀주 역을 맡았다. 임호는 김홍도와 쌍벽을 이루는 그림 재주의 소유자이자 홍도의 절친한 친구였으나 의견 차이로 갈라서게 되는 이명기 역을 맡았다.

4. 2. 김홍도 주변 인물

박혁권김홍도의 친구 이인문 역을 맡았다. 안미나는 이인문의 여동생 이정숙 역을 연기했다.

4. 3. 신윤복 주변 인물

안석환신한평 역을, 이인신영복 역을, 한정수가 서징 역을, 이경화 역을 맡았다. 신한평은 가문의 번영을 위해 그림 재주가 있는 윤복을 이용하려 양녀로 삼아 남자로 키웠으며, 신영복은 윤복에 대한 연모를 억누르면서 따뜻하게 지켜보았다.

4. 4. 정조 & 궁

배수빈정조 역을 맡았다. 임지은정순왕후 김씨 역을, 정인기홍국영 역을, 최정우김귀주 역을 연기했다.

4. 5. 도화서 & 단청실

김응수가 맡은 장벽수는 오죽회의 일원으로서, 10년 전 도화서 별제 자리를 얻기 위해 음모에 가담한 인물이다. 박진우는 장효원 역을 연기했다. 윤주상은 강수항 역을, 임호이명기 역을 맡았다. 이명기는 김홍도와 쌍벽을 이루는 그림 재주를 가진 양반 출신으로, 한때 홍도의 절친한 친구였으나 의견 차이로 갈라서게 된다.

이준은 신영복 역을 맡아, 신윤복에 대한 연모를 억누르며 따뜻하게 지켜보는 연기를 펼쳤다. 이병준은 어린 영복을 연기했다. 박혁권은 이인문 역을 맡아, 홍도의 친구로 등장한다. 임지은은 정순왕후 역을, 정인기홍국영 역을 연기했다. 안석환은 신한영 역을 맡아, 윤복의 양아버지로서 가문의 번영을 위해 윤복을 이용하려 한다.

고규필과 이상희는 화원역할을 맡았다.

4. 6. 기타

이미영은 목계월 역을, 김보미는 막년이 역을, 이상훈, 조동희, 김효선은 설청 역을, 장문석은 돌쇠 역을, 김성범, 이우신, 김홍수, 신준영, 손선근, 한춘일, 이종구, 나재균, 이광세는 종친 역을, 박통일, 이승찬, 박정민은 강유언 역, 미상은 돌쇠 역, 손건우는 한량 역, 이석구는 이조참의 역, 송승용은 관원 역, 김익태는 복원군 역, 전진기등을 연기했다. 이준은 신영복, 박혁권은 이인문, 임지은은 정순왕후, 정인기홍국영, 김응수는 장벽수, 안석환은 신한영, 박진우는 장효원, 한정수는 서징, 윤주상은 강수항,이경화는 명, 서징의 아내,한여운은 정숙, 인문의 여동생,윤봉길, 고규필화원,이상희는 화원,손화령은 기생,민준현은 내시,하대ro는 생도,김원석,장문석은 돌쇠,최귀화,조동희,임호는 이명기,유윤지,정유미,최수한,태황등이 출연하였다.

5. 주요 설정 및 용어

6. 드라마 속 그림

드라마 《바람의 화원》에는 40점 이상의 그림이 등장하며, 각 그림에 대한 배경 이야기가 극의 전개와 함께 흥미롭게 펼쳐진다. 특히, 혜원 풍속도의 그림들은 현재 사용되는 제목이 화가 자신이 지은 것이 아니라, 100년 이상 지난 후에 붙여진 것이기에 더욱 눈길을 끈다.

신윤복
기다림
Gidalim
기다림


김홍도
송하맹호도
Songha.maengho
소나무 아래 호랑이


혜원풍속도
춘색만원
Spring mood covers all over the places


혜원풍속도
소년전홍
Young boy plucking an azalea


혜원 풍속도
단오풍정
Scenery on Dano day


김홍도
황묘농접
Cat watching at a butterfly


혜원 풍속도
주사거배(酒肆巨杯)
주막의 기둥


혜원 풍속도
계변가화(溪邊佳話)
시냇가 거리의 이야기


단원 풍속도
빨래터
빨래하는 곳


이명기, 김홍도
서직수 초상
서직수 초상 (1796)


이명기
채제공의 초상화
Portrait of Chae Je-gong (1792)


단원 풍속도
무동
Dancing boy


신윤복
미인도
Portrait of a Beauty

7. 수상 내역

2008년 SBS 연기대상에서 문근영은 대상, 10대 스타상, 베스트커플상을 수상하였고, 문채원은 베스트커플상과 뉴스타상을, 배수빈은 뉴스타상을 받았다. 같은 해 제21회 그리메상에서 문근영은 여자최우수연기상을 수상했다.

2009년에는 제45회 백상예술대상 TV부문 여자최우수연기상을 문근영이 수상하였고, 제4회 서울 드라마 어워즈 인기상을 받았다. 같은 해 제36회 한국방송대상 중단편드라마부문 작품상을 수상했다.

2010년에는 휴스턴 국제 필름페스티벌 드라마 부문에서 은상을 수상하였다.

연도시상식부문수상자결과
2008제21회 그리메상최우수 작품상,
드라마 부문
배홍수
(촬영감독)
최우수 여자 연기자상문근영
최우수 조명감독상송욱
탤런트 부문 신인상문채원
대상문근영
남자 최우수 연기상박신양
여자 최우수 연기상문근영
드라마스페셜 부문 조연상류승룡
10대 스타상문근영
뉴스타상문채원
배수빈
아역상김유정
베스트 커플상문근영 & 문채원
2009TV 부문 드라마 작품상《바람의 화원》
TV 부문 여자 최우수 연기상문근영
TV 부문 여자 신인 연기상문채원
TV 부문 여자 인기상문근영
제4회 서울 드라마 어워즈미니시리즈 부문《바람의 화원》
여자 연기자상문근영
네티즌 인기상문근영
2010은상《바람의 화원》
아시아 TV 시리즈 특별상《바람의 화원》


8. 비판 및 논란

9회에서 상궁은 혜원이라는 필명을 사용하는데, 이 필명은 아직 주어지지 않았다(13회).[12] 15회 56분 28초, 악역은 백동수와 같은 배우가 연기했다. 육십간지 오류도 있는데, "현재"가 1777년 = 정유(丁酉)년일 때, "10년 전"은 1766년 = 병술(丙戌)년이 되어야 한다. 그러나 한국어 사운드트랙("온 세상에")과 "비밀 서고"에 있는 한자(14회, 09:27)는 병진(丙辰)년, 즉 1796년을 묘사하고 있다.[13]

총 20개의 에피소드에서 묘사된 사건들은 1777년(=현재)을 기준으로 하며, 1766년(=10년 전)의 회상 장면이 포함된다. 이 두 시점을 넘나드는 교차 편집 방식은 관련된 화가들에 대해 알려진 빈약한 역사적 사실들과 함께 어느 정도의 예술적 허용을 필요로 했다. 예를 들어 화가 이명기는 1791년~1796년에만 알려져 있고, 서직수의 그림(E08)은 1796년에 그려졌다. 영의정 채제공의 초상(E09)은 1777년 김홍도가 아닌 1792년에 이명기에 의해 그려졌다. 강세황은 1713년부터 1791년까지 살았으므로 1766년에 살해되지 않았다. 태조의 초상화, ''태조 어진''은 1872년에 그려졌다. 다산 정약용은 1762년~1836년에 살았고, 1766년에는 기계 도면을 그린 적이 없다. 남계우는 1811년~1888년에 살았으며, 그의 ''나비''는 1777년경에 그려지지 않았다.

이러한 예술적 허용은 극본의 서사적 일관성을 유지하는 데 기여했으며, 작가 역시 이를 대체로 인정했다. 드라마의 각 에피소드는 "이 드라마의 내용은 일부 역사적 사실과 다를 수 있습니다"라는 서문으로 시작한다.

일부 학자들은 이러한 역사적 왜곡으로 인해 드라마를 비판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대중들 사이에서 예술적 주제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는 결과를 낳았다. 간송미술관에서 열린 전시회는 2008년 10월 12일에 개장하여 20만 명의 방문객을 끌어모았으며, 전시된 예술 작품의 프린트 2,000부 이상이 판매되었다.[2]

9. 평가

아래의 '''파란색 숫자'''는 '최저 시청률'이고, '''빨간색 숫자'''는 '최고 시청률'이며 이는 시청률조사회사 AGB 닐슨 미디어 리서치의 조사결과이다.[15]

2008년
회차방송일AGB 시청률[15]
대한민국(전국)서울(수도권)
제1회9월 24일10.6%11.0%
제2회9월 25일11.1%11.5%
제3회10월 1일11.4%12.4%
제4회10월 2일11.3%11.1%
제5회10월 8일10.9%11.0%
제6회10월 9일12.6%13.4%
스페셜110월 15일10.3%10.0%
스페셜210월 16일8.1%8.1%
제7회10월 22일13.5%13.2%
제8회10월 23일16.6%16.2%
제9회10월 29일14.1%14.6%
제10회10월 30일15.4%15.3%
제11회11월 5일12.0%12.1%
제12회11월 6일14.8%15.2%
제13회11월 12일11.3%11.3%
제14회11월 13일13.4%13.7%
제15회11월 19일12.9%12.1%
제16회11월 20일12.8%12.6%
제17회11월 26일12.5%12.4%
제18회11월 27일14.2%13.8%
제19회12월 3일12.3%12.1%
제20회12월 4일13.6%13.4%
평균 시청률12.9%12.9%



총 20개의 에피소드는 1777년을 현재 시점으로, 1766년을 10년 전 회상 시점으로 설정하여 두 시점을 교차하는 방식으로 전개된다. 이러한 구성은 관련된 화가들에 대한 역사적 사실이 부족한 상황에서 불가피하게 예술적 허용을 필요로 했다.

드라마에서 왜곡된 내용은 다음과 같다.


  • 이명기는 1791년~1796년에 활동한 화가로 알려져 있다. 서직수의 그림(E08)은 1796년에 그려졌다.
  • 채제공의 초상(E09)은 1777년 김홍도가 아닌 1792년 이명기에 의해 그려졌다.
  • 강세황은 1713년부터 1791년까지 생존했으므로 1766년에 사망하지 않았다.
  • 태조의 초상화, ''태조어진''은 1872년에 그려졌다.
  • 정약용은 1762년~1836년에 생존했으며, 1766년에는 기계 도면을 그린 적이 없다.
  • 남계우는 1811년~1888년에 생존했으며, 그의 ''나비'' 그림은 1777년경에 그려지지 않았다.


이러한 예술적 허용은 극본의 서사적 일관성을 위해 불가피한 측면이 있었으며, 작가 역시 이를 인정했다. 드라마 각 에피소드는 "이 드라마의 내용은 일부 역사적 사실과 다를 수 있습니다"라는 문구로 시작한다.

일부 학자들은 이러한 역사적 왜곡을 비판했지만, 드라마는 대중의 예술적 관심 증대에 기여했다. 간송미술관(성북동)에서 2008년 10월 12일에 열린 전시회에는 20만 명의 방문객이 몰렸고, 전시된 작품의 프린트 2,000부 이상이 판매되었다.[2]

9. 1. 긍정적 평가

드라마에 묘사된 사건들은 1777년을 현재 시점으로, 1766년을 10년 전 회상 시점으로 설정하여 교차 편집되었다. 이러한 설정은 역사적 사실과 다른 부분이 존재하게 만들었지만, 극의 서사적 일관성을 유지하는 데 기여했다.[2] 작가 역시 이러한 예술적 허용을 인정했으며, 드라마 각 에피소드는 "이 드라마의 내용은 일부 역사적 사실과 다를 수 있습니다"라는 서문으로 시작한다.[2]

일부 학자들은 역사적 왜곡을 비판하기도 했지만, 드라마는 대중의 예술적 관심 증가에 기여했다.[2] 간송미술관(성북동)에서 열린 전시회는 2008년 10월 12일에 개장하여 20만 명 이상의 방문객을 기록했고, 전시된 작품의 프린트 2,000부 이상이 판매되었다.[2]

9. 2. 부정적 평가

2008년 방영된 드라마 《바람의 화원》은 예술적 허용을 통해 극적 재미를 높였으나, 일부 역사적 사실과 다른 내용이 포함되어 비판을 받기도 했다.[15]

2008년
회차방송일AGB 시청률[15]
대한민국(전국)서울(수도권)
제1회9월 24일10.6%11.0%
제2회9월 25일11.1%11.5%
제3회10월 1일11.4%12.4%
제4회10월 2일11.3%11.1%
제5회10월 8일10.9%11.0%
제6회10월 9일12.6%13.4%
스페셜110월 15일10.3%10.0%
스페셜210월 16일8.1%8.1%
제7회10월 22일13.5%13.2%
제8회10월 23일16.6%16.2%
제9회10월 29일14.1%14.6%
제10회10월 30일15.4%15.3%
제11회11월 5일12.0%12.1%
제12회11월 6일14.8%15.2%
제13회11월 12일11.3%11.3%
제14회11월 13일13.4%13.7%
제15회11월 19일12.9%12.1%
제16회11월 20일12.8%12.6%
제17회11월 26일12.5%12.4%
제18회11월 27일14.2%13.8%
제19회12월 3일12.3%12.1%
제20회12월 4일13.6%13.4%
평균 시청률12.9%12.9%



총 20개의 에피소드는 1777년을 현재 시점으로, 1766년을 10년 전 회상 시점으로 설정하여 두 시점을 교차하는 방식으로 전개된다. 이러한 구성은 관련된 화가들에 대한 역사적 사실이 부족한 상황에서 불가피하게 예술적 허용을 필요로 했다.

드라마에서 왜곡된 내용은 다음과 같다.


  • 이명기는 1791년~1796년에 활동한 화가로 알려져 있다. 서직수의 그림(E08)은 1796년에 그려졌다.
  • 채제공의 초상(E09)은 1777년 김홍도가 아닌 1792년 이명기에 의해 그려졌다.
  • 강세황은 1713년부터 1791년까지 생존했으므로 1766년에 사망하지 않았다.
  • 태조의 초상화, ''태조어진''은 1872년에 그려졌다.
  • 정약용은 1762년~1836년에 생존했으며, 1766년에는 기계 도면을 그린 적이 없다.
  • 남계우는 1811년~1888년에 생존했으며, 그의 ''나비'' 그림은 1777년경에 그려지지 않았다.


이러한 예술적 허용은 극본의 서사적 일관성을 위해 불가피한 측면이 있었으며, 작가 역시 이를 인정했다. 드라마 각 에피소드는 "이 드라마의 내용은 일부 역사적 사실과 다를 수 있습니다"라는 문구로 시작한다.

일부 학자들은 이러한 역사적 왜곡을 비판했지만, 드라마는 대중의 예술적 관심 증대에 기여했다. 간송미술관(성북동)에서 2008년 10월 12일에 열린 전시회에는 20만 명의 방문객이 몰렸고, 전시된 작품의 프린트 2,000부 이상이 판매되었다.[2]

참조

[1] 웹사이트 Mysterious Artist Resurfaces on Modern Culture Scene https://www.koreatim[...] 2008-10-09
[2] 웹사이트 Fact and fiction meld in life of mysterious Joseon painter https://koreajoongan[...] 2008-10-31
[3] 웹사이트 Erotic icon https://koreajoongan[...] 2008-10-25
[4] 웹사이트 Upcoming drama paints lives of two Joseon masters https://koreajoongan[...] 2008-09-09
[5] 웹사이트 Korea's Sweetheart Moon Becomes Mysterious Artist https://www.koreatim[...] 2008-09-23
[6] 웹사이트 Moon Geun-young Returns to TV Screen https://www.koreatim[...] 2008-01-11
[7] 웹사이트 http://www.dramahous[...] Drama House (JTBC Content Hub)
[8] 웹사이트 'The Painter of Wind' wins award at TV festival in Shanghai http://www.asiae.co.[...] 2010-06-15
[9] 웹사이트 Actress Breaks Nose, Falls Into Well https://www.koreatim[...] 2008-10-14
[10] 웹사이트 10LINE: Actress Moon Geun-young http://www.asiae.co.[...] 2010-05-06
[11] 웹사이트 Park Banned From Major Production Companies Works https://www.koreatim[...] 2008-12-11
[12] 웹사이트 Painter of the Wind – Summary 9 http://dramatomy.com[...] 2008-10-31
[13] 웹사이트 Painter of the Wind – Summary 13 http://dramatomy.com[...] 2008-11-13
[14] 뉴스 http://www.hani.co.k[...] 2017-07-29
[15] 웹인용 http://www.agbnielse[...] 2014-01-01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